Old Posts/Linux105 [Linux] '/proc/net/dev' 파일 정보 클러스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장비의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proc/net/dev' 파일을 통해 현재 장비의 네트워크 통신과 관련된 트래픽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클러스터 장비들의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좋다. 참고로 리눅스에서 Ganglia의 gmond가 이 파일을 읽고 파싱해서 지표를 수집한다. '/proc/net/dev' 내용을 cat 명령으로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현재 장비의 트래픽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출력된다. 사실 출력 결과가 정렬되어 있지 않아서 알아보기는 조금 힘들다.) $ cat /proc/net/dev Inter-| Receive | Transmit face |bytes packets errs drop fifo frame compressed multic.. 2021. 12. 28. [Linux] Yum Delta RPM CentOS 등의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 yum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yum을 이용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업데이트 할 때 서버 환경에 따라 다음 에러 메시지를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Error: Delta RPMs disabled because /usr/bin/applydeltarpm not installed. 에러라고 메시지가 찍히기는 하지만 조금만 기다려보면 문제없이 패키지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실행에는 문제가 없지만 출력되는 에러가 거슬린다. 이 에러 메시지를 없애보자. Delta RPM (DRPM) 이 에러 메시지는 현재 환경에 Delta RPM(DRPM)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DRPM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RPM 패키지 버전별 변경사항들을 이용.. 2021. 12. 18. [Linux] 리눅스 서버 재부팅, 셧다운 시간 확인하기 리눅스 서버가 재부팅되거나 셧다운된 시간을 사후에 조회하고 싶은 경우 last 명령어와 who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last reboot 명령 $ last reboot reboot system boot 3.10.0-431.el6.i Sun Nov 12 13:15 - 13:51 (00:36) reboot system boot 3.10.0-431.el6.i Sun Nov 12 10:17 - 11:58 (01:40) reboot system boot 3.10.0-431.el6.i Sat Nov 11 14:54 - 16:17 (01:23) last reboot 명령어는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재부팅한 시간이 언제인지 최신순으로 정렬해서 출력해준다. 제일 위에 출력되는 것이 가장 최근에 재부팅한 시간이다. 비슷.. 2021. 11. 27. [Linux]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확인 리눅스에서 데몬을 띄우다보면 "BindException : Address already in used : bind" 같은 예외를 발생시키면서 구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데몬이 사용하려고하는 포트를 이미 시스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인딩을 할 수 없어 발생하는 예외다. 대부분 포트 번호를 랜덤으로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먼저 포트를 선점해서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므로 그 프로세스를 찾아서 재시작해주면 해결된다. 현재 로컬서버에서 열림 포트를 확인하기 위해서 netstat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 sudo netstat -tnl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 2021. 11. 20. [Linux] curl 명령어 사용법 및 옵션 정리 - http/https 관련 curl은 커맨드 라인용 데이터 전송 도구다. HTTP, HTTPS, FTP, LDAP, SCP, TELNET, SMTP, POP3 등 주요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유닉스와 리눅스, 윈도우 등 주요 운영체제에서 기본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REST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연계되는 클라이언트를 개발할 때 서버의 동작을 터미널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cURL 주요 옵션 (http/https 관련) curl 명령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curl [options...] 특정 URL을 대상으로 동작하며 URL 앞에는 curl의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curl 명령의 옵션은 GNU getopt를 사용하고 있다. curl 명령의 옵션은 하이픈 하나로 시작하는 short 형식과 하이픈 두개로 시작하는 long .. 2021. 11. 15. [Linux] tmux 설치와 사용법 및 예제 정리 원격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을 하다보면 터미널 화면을 분할해서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하나의 터미널 창에 여러개의 터미널 화면을 분할해서 사용하는 'Terminal multiplexer'라는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터미널 환경에서의 생산성은 물론이고, 고수의 느낌을 조금이나마 풍길 수 있다. Terminal multiplexer 소프트웨어 중에 tmux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설치 방법과 간략한 사용법을 정리해보았다. tmux 설치 tmux는 각 운영체제의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다. 우선 macOS에서는 brew를 이용해 설치할 수 있다. $ brew install tmux 우분투 리눅스에서는 apt-get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 2021. 8. 7. [Linux] 엣지 트리거(Edge Trigger, ET)와 레벨 트리거(Level Trigger, LT)의 차이점 시스템에서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서 트리거(Trigger)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트리거는 원래 전기전자에서 사용하는 개념이지만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도 비슷한 개념을 사용한다. 트리거는 '레벨 트리거(Level Trigger)'와 '엣지 트리거(Edge Trigger)'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기 위해 0과 1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어떤 변수를 생각해보자. 어떤 시스템에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고 생각해도 좋다. 이 변수는 조건에 따라 0이 되기도하고 1이되기도 한다. 이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위 그림처럼 0과 1이 번갈아가면서 바뀌는 것처럼 그려볼 수 있다. 레벨 트리거(Level Trigger) 우선 레벨트리거는 상태 변수의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동작한다. 상태변수가 1인 경우를.. 2021. 8. 7. [Linux] RAID 0, RAID 1, RAID 10, RAID 01 차이점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는 언제든지 고장이 날 수 있다. 따라서 2차 저장장치인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했다고해서 영구적으로 데이터의 영속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레이드(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레이드는 그 구성 방법에 따라 RAID 0, RAID 1, RAID10, RAID 01 설정을 많이 사용한다. 레이드 뒤쪽에 오는 숫자가 직관적이지 않아서 어떻게 구성하는 방법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0과 1은 '스트라이핑(Striping)'과 '미러링(Mirroring)'을 의미하며 01을 SM으로 기억.. 2021. 8. 6. [Linux] 디스크(Disk), 파티션(Partition)과 볼륨(Volume)의 차이 서버의 저장장치와 저장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면 '디스크(Disk)', '파티션(Partition)', '볼륨(Volume)'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 중 파티션(Partition)과 볼륨(Volume)이라는 단어는 많이 혼용되기도 하는데, 정확하게 이들이 어떻게 다른지 찾아서 정리해봤다. 디스크(Disk)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원래 디스크는 자기 물질이 발라져있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스크 플래터(Platter)와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디스크 헤더, 그리고 디스크 헤더를 특정 위치로 위치시키는데 사용되는 디스크 암(Arm)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드디스크(HDD)를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SSD나 플래시 메모리, RAM 디스크.. 2021. 8.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