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 Posts/Linux105 [Linux] pwd 명령어 사용법 - 현재 작업 디렉토리 출력 터미널을 이용해서 쉘 작업을 할 때, '작업 디렉토리'를 옮겨가며 명령을 수행한다. 쉘을 실행하면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라는 개념이 있고, 이를 기준으로 상대 경로를 평가하거나 명령어들의 기본 수행 경로로 지정되기도한다. 예를 들어 ls 명령어를 인자없이 실행했을 때,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엔트리 정보들이 출력된다. 작업 디렉토리를 옮기기 위해서는 cd 또는 chdir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립트에서 일련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다가 현재 작업 디렉토리 정보를 얻어오고 싶은 경우 pwd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pwd 명령은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이다. pwd 명령 옵션 옵션 긴 버전 설명 -L --logical 심볼릭 링크를 포함하더라도 PWD 환경 변수를 사용 -P --ph.. 2022. 1. 29. [Linux] ls 명령어 사용법 ls 명령어는 ‘list segments’의 약자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다. 아마 터미널을 열고 작업을 할 때, 뇌를 거치지 않고 반사적으로 튀어나오는 명령어 중 하나일 것이다. ls 명령어는 디렉토리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이나 다른 디렉토리 같은 엔트리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한다. ls 명령어에 인자를 주지 않으면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명령어 인자로 디렉토리나 파일의 경로를 넘겨주면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의 엔트리 혹은 파일의 정보를 출력한다. ls 명령어의 결과 값은 기본적으로 알파벳 순으로 정렬되어 출력되며, 정렬과 관련된 옵션을 통해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ls 명령어 옵션 ls 명령어에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많지만 자주 사용하.. 2022. 1. 29.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들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명령어 설명 access curl HTTP 요청 전송 compress, uncompress 파일 압축, 압축 해제 dd 디스크 입출력 성능 측정 date 날짜와 시간 계산 df dir dirname du enable env file finger free 메모리 상태 확인 halt, poweroff, reboot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 hdparam 디스크 입출력 성능 측정 head, tail host hostid hostname iconv id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관련 jobs ipcs, ipcrm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객체 조회 및 관리 iptables jstat jstatd jq json 파싱 last lastb las.. 2022. 1. 29. [Linux]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은 여러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묶는 기술이다.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묶어 대역폭(Bandwidth)을 확장하거나 하나의 주소에 대해 'Active-Standby' 구성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네트워크 본딩하기 우선 시스템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2개 이상 준비되어 있어야한다. $ ifconfig eth0: flags=4163 mtu 1500 ether 02:42:ac:11:00:02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10003 bytes 14552272 (13.8 M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5615 bytes .. 2022. 1. 3. [Linux] ifconfig 명령 사용법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이다. (최근에는 ifconfig 명령보다 ip addr, ip route 등의 명령을 쓰도록 권장하는 분위기다) ifconfig 사용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조회 아무런 인자 없이 ifconfig 명령만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세부 내용을 조회하게 된다. $ ifconfig eth0: flags=4163 mtu 1500 inet 172.17.0.3 netmask 255.255.0.0 broadcast 172.17.255.255 ether 02:42:ac:11:00:03 txqueuelen 0 (Ethernet) RX packets 9257 bytes 13460395 (12.8 MiB) RX.. 2022. 1. 1. [Linux] ldconfig 명령어 사용법 ldconfig 명령어는 바이너리를 실행할 때, Shared Object 같은 동적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주는 링커를 설정하는 명령이다. 리눅스 상에서 *.so 파일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 할 때, Shared Object를 다시 읽어 들이는 명령이다. ldconfig 명령은 존재하는 파일을 조사하고, /etc/ld.so.cache 라는 캐시파일을 설정하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로드하고 심볼릭 링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etc/ld.so.conf.d 경로에 .conf 파일을 추가, 수정하거나 LD_LIBARARY_PATH를 변경하게 되면 ldconfig 명령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다시 설정해야한다. ldconfig 옵션 옵션 설명 -C /etc/ld.so.cache 파일 대신 지정한 파일을 캐시로 사용한다.. 2021. 12. 31. [Linux] jstatd 명령어 사용법 jstatd는 jps나 jstat 같은 분석도구가 원격 서버에 접속해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jstatd는 Sun JDK 패키지와 함께 배포되는 툴이다. jstatd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jstatd [options] jstatd 명령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옵션 설명 -p port Port number where the RMI registry is expected to be found, or, if not found, created if -nr is not specified. -n rminame Name to which the remote RMI object is bound in the RMI registry. The default name is JStatRe.. 2021. 12. 30. [Linux] jstat 명령 사용법 jstat 명령은 JDK 1.6 버전부터 함께 제공되기 시작한 모니터링 및 분석툴이다. jstat 명령을 이용해서 JVM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GC(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JVM을 튜닝할 수 있다. jstat 사용법 jstat -help 를 입력하면 jstat 명령어의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 jstat -help Usage: jstat -help|-options jstat - [-t] [-h] [ []] Definitions: 아래에서 설명할 jstat 명령어의 옵션 -t 출력의 가장 첫번째 컬럼에 timestamp 출력 모니터링하려는 JVM의 PID 출력 모니터링 출력 사이에 샘플 번호 출력 모니터링 출력 주기 단위는 기본이 초, .. 2021. 12. 30. [Linux] ldd 명령어 사용법 ldd 명령어는 실행 파일을 인자로 받아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틸리티 명령어다. ldd 명령어 사용법 ldd [option] path 현재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git 명령어의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조회해보면 이런식으로 어떤 Static Object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 실행환경에서 어떤 경로에 위치해있는지 볼 수 있다. ldd 명령을 이용해서 확인한 SO들이 현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바이너리가 정상적으로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경로를 찾을 수 없는 SO 파일들이 확인되면, 설치하던가 SO 파일이 있는 경로를 LD_LIBRARY_PATH 등으로 설정해주자. ldd 명령어 옵션 옵션 긴 옵션 설명 --version ldd 명령의 버전 정보 출력 --help ldd 명.. 2021. 12. 29.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