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2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란? IDC를 넘나드는 이중화 서비스를 구현할 때 GSLB라는 단어를 접하게 된다. GSLB란 무엇이고 일반 DNS와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자.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GSLB는 Global Server Load Balancing의 약자이다. 이름에 로드 밸런싱이 들어가 있어서 로드 밸런스의 발전된 형태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GSLB는 DNS의 발전된 형태다. GSLB를 지능적 DNS라고 부르기도 한다. GSLB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다음을 제공한다.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저지연 (Low Latency) DNS를 이용한 로드밸런싱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글로벌 로드밸.. 2024. 3. 8. [Linux] DNS에서 'CNAME'과 'A 레코드(A Record)'의 차이 블로그의 2차 주소를 관리할 때, 가비아나 후이즈 같은 DNS를 이용한다. DNS에서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할 때, 서브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 CNAME과 A 레코드 같은 정보를 관리 페이지에서 등록하게 된다. CNAME과 A 레코드 모두 서브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데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 둘 필요가 있다. DNS (Domain Name System) 우선 DNS(Domain Name System)부터 알아야한다. 인터넷을 구성하고 있는 서버들은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IPv4의 경우 192.168.0.1 같은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IP 주소를 알면 특정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IP 주소는 의미가 없는 유니크 값에 불과하다. 때문에 사용자들이 외우기 힘들다... 2021. 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