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96

[Linux] lastb 명령어 사용법 lastb 명령어는 시스템으로의 접속에 실패한 기록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var/log/btmp' 파일을 참조하여 로그인 실패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정보가 로그인 실패라는 점을 제외하면 last 명령어와 유사하다. lastb [옵션][유저명][tty] 옵션 옵션 설명 -num 'last -5'라고 주면 5개의 기록만 조회함 -n num -num과 동일 -R 호스트 네임 필드는 출력 안함 -a 출력되는 목록에서 호스트 네임 필드를 마지막에 출력 -d 다른 호스트에서 접속한 내용만 출력 -x shutdown 상태 및 런레벨(runlevel)이 바뀐 상태 출력 -f file 지정한 파일에서 정보를 읽어와 출력 관련글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들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2022. 2. 12.
[Linux] look 명령어 사용법 look 명령어는 파일에서 주어진 문자로 시작하는 라인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다. look [옵션][문자열][파일] 인자로 받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라인을 검색해서 출력한다. $ cat file Hello world good morning hello my friend $ look -f h test Hello World hello my friend 파일명이 인자로 넘겨지지 않으면 '/usr/share/dic/words' 파일에서 검색된다. look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b 주어진 워드 리스트에서 이진검색을 이용 -d 알파벳 문자만을 비교 검사 -f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t 문자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를 지정 관련글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들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 2022. 2. 11.
[Linux] last 명령어 사용법 last 명령어는 시스템의 로그인 로그를 출력하는 명령어다. '/var/log/wtmp' 로그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계정들의 접속 정보를 참조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리눅스는 '/var/log/wtmp' 파일이 존재할 경우에만 접속 정보를 기록한다) last [옵션][유저명][tty] 시스템이 부팅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모든 유저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15:27:48]$ last user ttys002 Fri Feb 4 16:04 still logged in user ttys002 Fri Feb 4 12:58 - 12:58 (00:00) user ttys000 Fri Feb 4 09:17 still logged in user ttys000 Thu Feb 3 19:10 .. 2022. 2. 11.
[Linux] free 명령어 사용법 - 메모리 상태 확인 free 명령어는 전체 메모리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와 남은 메모리, 캐싱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 free 명령어는 ‘/proc/meminfo’ 파일에서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준다. $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124G 15G 8.3G 4.7M 101G 109G Swap: 0B 0B 0B 출력되는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total]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메모리 사이즈 [used] :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사이즈 (total - free - buffer/cache) [free] : 사용 가능한 여유 메모리 사이즈 [shared] : tmpfs.. 2022. 2. 10.
[Linux] logger 명령어 사용법 logger 명령어는 평소 syslog가 기록하는 로그 외에 별도의 로그 메시지를 ‘/var/log/message’ 파일에 기록할 수 있는 명령이다. logger [옵션][메시지] 주로 시스템의 동작 테스트 등을 위해서 많이 사용된다. [root@localhost /]# logger test [root@localhost /]# tail -1 /var/log/messages Jan 17 12:23:24 localhost root: test 옵션 옵션 긴 버전 설명 -i --id 매 라인마다 logger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id를 기록 -f --file 파일 특정 파일의 내용을 기록 -h --help 사용법 출력 -p --priority 우선순위 우선순위를 메시지와 함께 기록. 기본 값은 user.notic.. 2022. 2. 10.
[Linux] printenv 명령어 사용법 printenv 명령어는 print environment variable의 약자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printenv [옵션][변수명] printenv 실행시 특정 환경 변수명을 지정하면 해당 환경 변수 값만 출력하고, 인자를 주지 않으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의 값을 모두 출력한다. $ printenv TERM_PROGRAM=Apple_Terminal SHELL=/bin/bash USER=user PWD=/Users/user LANG=ko_KR.UTF-8 HOME=/Users/user LOGNAME=user 옵션 옵션 설명 --help 사용법 출력 --version 명령어의 버전 출력 관련글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들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ifconfig 네트워.. 2022. 2. 9.
[Linux] env 명령어 사용법 env 명령어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들을 출력하거나 새로운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변수 값들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 env [옵션][Key=Value][명령[인수]] env 명령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들의 리스트와 그 값들을 출력한다. $ env TERM_PROGRAM=Apple_Terminal SHELL=/bin/bash USER=user PWD=/Users/user LANG=ko_KR.UTF-8 HOME=/Users/user LOGNAME=user env 명령어 뒤에 프로그램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env ls dir1 dir2 dir3 env 명령어로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은 주로 스크립트 파일의 ‘셔뱅(shebang)’에 .. 2022. 2. 9.
[Linux] pidof 명령어 사용법 pidof 명령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ID를 찾기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다. pidof [OPTIONS] ... ProgramName 입력한 프로그램으로 실행한 프로세스들의 pid 들을 화면에 출력해준다. (동일한 기능을 ps 명령어의 grep, awk 명령을 조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 pidof nginx 17012 17011 17010 옵션 옵션 설명 -s Single slot. 특정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id 하나만 출력 -c root 사용자만 사용가능한 옵션. 같은 루트 디렉토리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id만 출력 -n NFS 같은 네트워크 기반 파일시스템에 있는 바이너리에 대해 stat 시스템 함수 콜을 사용하지 않음. -x 스크립트와 함께 실행중인 프로세스 id도 함께 출력 -o 지정한 프로세.. 2022. 2. 9.
[Linux] uptime 명령어 사용법 uptime 명령어는 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현재 사용자 수, 평균 부하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시스템이 재부팅된 시점으로부터 uptime에 대한 기록이 시작된다. uptime [옵션] uptime 명령어를 별다른 옵션없이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uptime 20:55 up 6:35, 3 users, load averages: 3.29 2.89 2.39 맨 첫번째 컬럼에 나오는 값은 현재 시간이며, 두 번째는 재가동 이후 경과한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세 번째 컬럼은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해 있는 사용자의 숫자를 나타내며, 마지막 컬럼은 순서대로 최근 1분, 5분, 15분 동안 시스템의 평균 로드를 나타낸다. 옵션 옵션 긴버전 설명 -p --pretty 구동시간을 .. 2022.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