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운영11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란? IDC를 넘나드는 이중화 서비스를 구현할 때 GSLB라는 단어를 접하게 된다. GSLB란 무엇이고 일반 DNS와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자.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GSLB는 Global Server Load Balancing의 약자이다. 이름에 로드 밸런싱이 들어가 있어서 로드 밸런스의 발전된 형태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GSLB는 DNS의 발전된 형태다. GSLB를 지능적 DNS라고 부르기도 한다. GSLB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다음을 제공한다.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저지연 (Low Latency) DNS를 이용한 로드밸런싱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글로벌 로드밸.. 2024. 3. 8.
가상화의 종류 - 전가상화와 반가상화 서버의 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 가상 OS, VMM(Virtual Machine Monitor)라고 불리며 크게 Type1(네이티브, 베어메탈 방식)과 Type2(호스트형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Type 1 가상화 Type 1 가상화는 네이티브 혹은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는 가상화다. 하드웨어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직접 구동되고 그 위에 게스트 운영체제가 수행되는 방식이다. Oracle VM Server for X86, VMware의 ESX/ESX i Server, Citrix Xenserver, Oracle의 VM Server,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 Virtual Iron, Parallels의 Parallels Server 등이 Type-1 형태의 하이퍼바이저다. 베어메탈을 관리할 O.. 2023. 12. 13.
[Linux] 캐싱(Caching)과 버퍼링(Buffering) 그리고 스풀링(Spooling)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다루다보면 '캐싱(Caching)', '버퍼링(Buffering)', '스풀링(Spooling)'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온다. 이들은 각각 어떤 개념이고 어떤점에서 다른지 알아보자. 캐싱 (Caching) 캐싱이란 데이터를 좀 더 빠른 속도의 메모리 영역에 가져와서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하드디스크, SSD, RAM, CPU 캐시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하드디스크과 SSD는 데이터에 접근하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리지만 저렴하다. CPU의 캐시는 굉장히 빠르지만 가격이 비싸다. 따라서 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해서 필요하거나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를 미리 더 빠른 메모리로 올려놓고 처리하게 되는데, 이를 캐싱이라고 한다. 데이터는 지역성(Locality.. 2023. 12. 8.
[Linux] Patrol Read(PR), Consistency Check(CC) 명령어 정리 리눅스 서버의 디스크 컨트롤러 중에는 Patrol Read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Patrol Read가 서버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가끔 지나치게 리소스를 잡아먹는 등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Patrol Read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Patrol Read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정리해보자. Patrol Read(PR) Patrol이라는 단어에 '순찰을 돌다'라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Patrol Read는 마치 순찰을 돌듯이 미리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만한 부분을 미리 발견해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Patrol Read는 하드 드라이브의 블럭을 미리 스캔해서 문제가 있을만한 배드블럭(Bad Block)을 예비 영역과 교.. 2023. 11. 10.
[Linux] '/proc/diskstats' 파일 리눅스는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proc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파일을 통해 제공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roc/diskstats 파일에 대해 알아보자. /proc/diskstats 파일 /proc/diskstats 파일은 시스템에 있는 블록 디바이스들의 입출력 통계 정보를 출력해준다. cat 명령을 통해 /proc/diskstats 파일의 내용을 조회해보면 블록 디바이스 이름과 다양한 숫자들이 화면에 출력된다. [root@6f9963e1a7aa /]# cat /proc/diskstats 252 0 vda 13523 61 847172 2801 1330009 31047 225631031 1399426 0 870390 1523579 4707 0 386812040 173 64168 121177 252 1 .. 2023. 5. 23.
[Linux] tar: Ignoring unknown extended header keyword 에러 해결 리눅스 환경에서 타르볼(*.tar.gz) 파일을 풀어야 할 일이 있었다. tar xzvf 명령을 이용해서 타르볼을 풀었는데 다음 에러 메시지가 터미널 창을 가득 채웠다. tar: Ignoring unknown extended header keyword 'LIBARCHIVE.xattr.com.apple.provenance' tar: Ignoring unknown extended header keyword 'LIBARCHIVE.xattr.com.apple.provenance' tar: Ignoring unknown extended header keyword 'LIBARCHIVE.xattr.com.apple.provenance' 타르볼을 풀어서 수행하던 작업이 제대로 끝나지 않아서 저 에러가 뭔지 찾아봤다. .. 2023. 3. 21.
[Bash] warning: shell level (1000) too high, resetting to 1 에러 bash 스크립트를 수행하다가 다음 에러를 만나게 되었다. $ ./run /bin/bash: warning: shell level (1000) too high, resetting to 1 쉘의 레벨이 1000으로 너무 높아서 1로 리셋했다는 의미다. 쉘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또 다른 쉘을 열어서 진행하는 경우 쉘 레벨(SHLVL) 변수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현재 쉘의 레벨 값은 SHLVL 변수를 조회해보면 알 수 있다. $ echo $SHLVL 1 $ bash $ echo $SHLVL 2 $ exit $ echo $SHLVL 1 문제는 어디에선가 쉘 스크립트를 재귀적으로 호출하는 곳이 있을 때 발생한다.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동일한 에러를 재현할 수 있다. $ echo "bash run" > run $.. 2022. 10. 21.
[Linux] MAC Address 확인 방법 리눅스에서 MAC 주소를 조회해보자. 1. ifconfig 명령 ifconfig 명령으로 MAC 주소를 조회하려는 인터페이스를 입력하고, ether 문자열로 grep 하면 맥 주소를 알 수 있다. user@myhost:~$ ifconfig etho0 | grep ether ether 00:15:7d:32:e5:63 txqueuelen 1000 (Ethernet) ether 뒤 쪽에 출력되는 '00:15:7d:32:e5:63' 문자열이 MAC 주소다 2. ip address 명령 ip address 명령으로 조회할 수도 있다. user@myhost:~$ ip address show eth0 | grep ether link/ether 00:15:7d:32:e5:63 brd ff:ff:ff:ff:ff:ff 3.. 2022. 2. 23.
[Linux] 임시 디렉토리 '/tmp' 삭제 관련 설정, 'tmpwatch' 설정 파일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임시 파일을 '/tmp' 디렉토리에 생성한다. 이 경로에 생성한 파일은 시스템이 재부팅될 때 혹은 주기적으로 커널이 지워주기 때문에 별도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tmp' 디렉토리에 생성된 임시파일을 정리하는 규칙은 리눅스 구현체마다 조금씩 다르다. Ubuntu 데비안(Debian) 계열의 리눅스의 경우 시스템이 재부팅되는 경우에 '/tmp' 디렉토리가 지워진다. 이는 기본 값이고 /etc/default/rcS 파일에 임시 디렉토리 삭제와 관련된 룰이 저장된다. 대략 다음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 /etc/default/rcS # # Default settings for the scripts in /etc/rcS.d/ # # For information about t.. 2020.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