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64 M1 Pro 맥북에 Git 설치하기, Homebrew 설치하기 개발용 노트북으로 M1 Pro 맥북 프로를 받았다. git을 설치해보자. 우선 git을 설치하기 위해서 맥을 위한 패키지 관리 소프트웨어인 Homebrew를 설치해야한다.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면 Homebrew 설치는 넘어가도 된다. Homebrew 설치 https://brew.sh/ 페이지에 접속하면 Homebrew를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를 복사할 수 있다. 명령어를 복사하고 터미널 앱을 열어서 붙여넣고 실행하면 된다. 설치가 시작되면 Password: 문구가 출력되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맥북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가 완료되고 brew help 명령어를 실행해서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M1 Pro 맥북의 경우 다음 에러가 발생했었다. zsh: command not.. 2023. 3. 11. [Windows] 터미널 경고음 소리 끄기 윈도우에서 터미널 작업을 하다보면 지울 글씨가 없는 상황에서 백스페이스를 누르거나 자동완성 될 것이 없는데 TAB 키를 누르는 경우 경고음이 나온다. 개인적으로 백 스페이스와 탭 키를 자주 누르는 편인데, 그 때마다 터미널에서 경고 음이 들려나와 시끄럽고 거슬렸다. 윈도우 터미널 경고음 소리 끄기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한다. '시스템' 항목을 클릭한다. '소리' 탭을 선택하고 아래쪽에 '앱 볼륨 및 장치 기본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그러면 앱 볼륨 및 장치 기본 설정 메뉴 중에 '콘솔 창 호스트' 같은 항목이 있을 것이다. 이 항목의 볼륨 값을 0으로 설정하면 된다. 2023. 1. 23. [Windows] WSL1을 WSL2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윈도우에는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라는 훌륭한 시스템이 있다. 윈도우에서 마치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WSL1 vs. WSL2 WSL은 버전 1과 버전 2가 있다. WSL 버전 2의 경우 OS 파일 시스템 간의 성능을 제외하면 WSL 버전 1보다 더 많은 기능과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그 밖에 WSL2로 올리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들이 몇 개 있어서 현재 사용 중인 WSL 버전 1을 WSL2로 올리기로 했다. WSL2 업그레이드 Powershell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 2023. 1. 18. [Python] 정적 메소드 @staticmethod, @classmethod 사용법 및 차이점 파이썬에서는 @staticmethod와 @classmethod 데코레이터를 통해서 정적 메소드를 지원한다. 정적 메소드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클래스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메소드를 의미한다. instance method 인스턴스 메소드(instance method)는 객체를 통해서 호출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클래스가 있다고 해보자. class MyClass: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def print_data(self): print(self.data) my_class = MyClass('new data') my_class.print_data() MyClass 클래스의 print_data() 메소드는 인스턴스 메소드다. 인스턴스 메소드는 첫 번.. 2023. 1. 14. [IntelliJ] TODO, FIXME 같이 코드에 태그(Code Tag) 달기 IntelliJ에서는 소스코드에 몇 가지 태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DO 키워드를 추가하면 그 코드 부분에서 해야할 작업들을 써넣을 수 있다. FIXME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태그를 입력하면 소스코드가 노란색으로 표시되면서 태그를 넣을 수 있다. IntelliJ는 TODO와 FIXME를 기본으로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이런 태그를 추가할 수도 있다. 코드 태그 추가 [Settings] 창을 연다. [Editor] 설정으로 들어가서 'TODO'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등록되어 있는 TODO 패턴을 볼 수 있다. 지금은 todo와 fixme라는 단어가 등록되어 있다. 오른쪽에 있는 +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패턴을 추가할 수 있다. 코드리뷰할 때 주목해봐야 할 내용들을 추가하기 위해서 'COMMENT'.. 2023. 1. 11. [IntelliJ] 주석에서 한글과 영어가 섞였을 때 스펠링 체크 해제 (typo체크 해제) IntelliJ의 Inspections 기능 중에 Spelling 체크 기능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오타들을 체크해준다. 소스코드에 있는 오타는 가독성을 떨어트리기도하고 가끔은 버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한글 언어 환경에서 개발을 할 때, Spelling 체크가 코드의 주석에 달린 한글을 오타라고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한글과 영어가 붙어있는 경우인데, 영어 명사 뒤에 한글 조사가 붙는 경우다. 예를 들어 "Class에 접근한다"라는 주석이 있으면 Class에 라는 부분에 밑줄이 그어지면서 오타라고 판단한다. 이런 개발환경의 지적에 무던하다면 그냥 넘어가도 좋다. 하지만 뭔가 신경쓰이는 밑줄이므로 이걸 없애봐야겠다. 게다가 주석은 그냥 설명인데 오타 좀 나면 어떤가?;;; 주석은 스펠링 체크하지 .. 2023. 1. 10. [Linux] SSH 연결 최적화 - ControlMaster, ControlPath, ControlPersist 설정 클러스터를 운영하는 경우 운영 서버로 ssh 접속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환경설정에 따라 아이디, 비밀번호 이외에 추가로 OTP 등의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하루에 한번 업무차 접속하는 경우라면 상관없지만 빈번하게 새로운 ssh 연결을 생성해야하는 경우라면 매번 해야하는 ID, Password, OTP 등의 절차가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이 때, ControlMaster, ControlPath, ControlPersist 설정을 해두면 번거로움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다. ssh 설정 ~/.ssh/config 파일을 열고 다음 설정을 추가하자. Host server HostName my.host.com User myUserId ControlMaster auto ControlPath ~.. 2023. 1. 4. [Python] 파이썬 환경변수 가져오는 방법(os.environ) 및 예제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운영체제에서 설정해주는 변수 값을 의미한다. 환경변수는 프로세스가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설정하기 어려운 값들을 환경변수에 설정하고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 쉘 스크립트에서는 env 명령을 통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 리스트를 얻어올 수 있는데 파이썬 코드에서는 어떻게 환경변수의 값에 접근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os.environ 파이썬 내장 모듈인 os 모듈에는 environ이라는 속성이 있다. environ 속성에는 파이썬 코드에서 접근할 수 있는 환경변수의 이름과 값이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import os print(os.envir.. 2022. 12. 24. [Bash] 문자열 자르는 방법 Bash 스크립트로 문자열 데이터를 다룰 때, 문자열의 일부를 잘라서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문자열을 자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문자열 자르기 - 인덱스로 자르기 Bash 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의 일부를 잘라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법을 사용하면 된다. ${str:offset:length} str 변수에 담겨있는 문자열의 offset 부터 length 만큼 잘라오겠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bin/bash str="Hello, World" echo "${str:0:5}" echo "${str:7:5}" Hello, World 라는 문자열을 담고 있는 str 변수를 ${str:0:5}로 접근하면 0번 문자부터 5개의 문자를 잘라서 가져온다. 즉 Hello 문자열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2022. 12. 3. 이전 1 ··· 4 5 6 7 8 9 10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