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커2

[Docker] 도커파일의 EXPOSE와 "docker run -p " 명령의 차이점 도커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컨테이너의 포트를 호스트의 포트와 매핑시킬 수 있다. 도커의 포트포워딩과 관련한 옵션에는 실행시 줄 수 있는 'docker run -p' 옵션과 도커 파일에 명시할 수 있는 EXPOSE 절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 정리해보겠다. 목차 docker run -p 명령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p' 옵션을 이용해서 호스트 운영체제의 포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실행했다고 해보자. docker run -it -p 5005:5005 ubuntu -p 옵션으로 호스트 머신의 5005번 포트와 컨테이너의 5005번 포트를 매핑 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실행이되면, 호스트 운영체제의 5005번 포트.. 2021. 5. 6.
[Docker] 호스트에서 컨테이너로 Ping 날리기 (macOS 문제) 맥에서 도커를 사용하다보면 리눅스 도커와 약간 다른 동작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도커 네트워크 역시 그런 문제중 하나였다. 도커를 실행하는 호스트 머신에서 도커 컨테이너의 가상 IP 주소로 ping을 날려봤다. $ ping 172.17.0.2 PING 172.17.0.2 (172.17.0.2): 56 data bytes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0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1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2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3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4 Request timeout for icmp_seq 5 ... 호스트에서 컨테이너로 ping이 안날라간다. 리눅스.. 2021.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