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CLI는 터미널 환경에서 깃허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틸리티다.
Github CLI 설치
Github CLI는 패키지 관리자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 sudo apt-key adv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key C99B11DEB97541F0
$ sudo apt-add-repository https://cli.github.com/packages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h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는 apt를 이용하면 된다.
$ sudo dnf config-manager --add-repo https://cli.github.com/packages/rpm/gh-cli.repo
$ sudo dnf install gh
페도라 계열의 리눅스에서는 dnf를 이용하면 된다.
$ brew install gh
맥에서는 brew를 이용해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scoop bucket add github-gh https://github.com/cli/scoop-gh.git
$ scoop install gh
윈도우는 scoop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https://cli.github.com/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편한대로 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 gh --version
gh version 1.11.0 (2021-06-03)
https://github.com/cli/cli/releases/tag/v1.11.0
gh --version
명령으로 설치된 Github CLI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Github CLI - 로그인
Github CLI를 설치하고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설정을 해야한다. 우선 깃허브에 로그인을 해야한다.
gh auth login
명령을 실행하면 대화식(Interactive)으로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 대화식으로 진행하면 좀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그냥 깃허브에서 토큰을 발급받아서 로그인 하도록 하겠다.
깃허브 토큰 발급
깃허브의 프로필 세팅 페이지로 들어간다. 좌측하단에 'Developer settings' 메뉴를 선택하면 'Personal access tokens'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곳에서는 깃허브 토큰을 발행할 수 있으며, 토큰으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들을 관리할 수 있다.
토큰에 권한을 부여하고 'Generate token' 버튼을 누르면 토큰이 생성된다. 이 토큰을 복사한 다음 적당한 파일(eg. token.txt)에 저장한다.
$ gh auth login --with-token < token.txt
gh auth login 명령에 --with-token 옵션을 주고 토큰을 저장한 파일을 입력으로 주면 로그인된다.
Github CLI - 로그인 정보 확인
$ gh auth status
github.com
✓ Logged in to github.com as davean27 (/Users/user/.config/gh/hosts.yml)
✓ Git operations for github.com configured to use https protocol.
✓ Token: *******************
status 명령을 이용하면 현재 로그인된 계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Github CLI - 매뉴얼
Github CLI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저장소를 조회하고, 생성할 수 있고 이슈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 포스트에서 모든 기능들을 다루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Github CLI 매뉴얼을 참고하도록 하자.
Github CLI의 기능들을 이용하면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깃허브 저장소를 관리하기 편하다.
Github CLI - 로그아웃
$ gh auth logout
댓글